공지사항

  • 담양경찰서
  • 알림공간공지사항
상세보기
경찰에 대한 우리 사회의 신뢰도·영향력은?
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06-08-16 조회수 617
첨부파일  
경찰 신뢰도·영향력 동반 상승

□ 중앙일보와 동아시아연구소(EAI)가 공동으로 실시한 우리 사회의 24개 파워조직에 대해 조사한 결과 경찰청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도 및 영향력이 모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.

○ 신뢰도 측면에서는

- 지난해 2위였던 현대자동차가 6.69(10점만점)로 1위를 기록한데 반해, 삼성이 지난해 1위에서 2위로 한단계 하락하였다.

- 국가기관으로는 헌법재판소가 5.77로 전체 5위, 국가기관 중에는 1위를 기록한 데 이어, 경찰은 전체 24개 기관 중 5.14로 대법원과 함께 공동 6위에 올랐고 국가기관 중에는 2위를 차지하였다. 기타 국세청이 4.61로 9위를, 검찰이 4.60으로 10위, 국정원이 4.01로 18위를 차지하였다.

○ 또한 영향력 측면에서도

- 지난해 2위였던 현대자동차가 7.14(10점만점)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지난해 1위였던 삼성이 2위로 하락하였다.

- 국가기관으로는 헌법재판소가 6.36으로 전체 4위, 국가기관중에는 1위를 기록한 데 이어, 경찰은 6.02로 전체 6위, 국가기관 중에는 2위를 차지하였다. 경찰에 이어 검찰(5.97), 대법원(5.77), 국세청(5.74)이 나란히 뒤를 이었다.

□ 이번 조사는 우리사회의 주요기관들의 국민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그 기관들의 국민으로부터의 신뢰도를 지수화한 것으 로서 비록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는 없지만 변화하는 사회상을 반영한 것으로서 나름의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.

○ 특히, 경찰의 영향력 상승은 복잡 다기한 현대사회에서 안전에 대한 욕구와 경찰의 역할과 비중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,

- 대부분의 기관의 신뢰도가 전년에 비해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경찰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한 것은 경찰이 구태로부터 벗어나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그것이 국민들로부터 신뢰를 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면이라 할 수 있다.

○ 하지만 경찰은 이번 평가 결과에 만족하지 않고 지속적인 자기반성과 혁신을 통해 국민들로부터 가장 신뢰받고 의지할 수 있는 기관으로 거듭나도록 더욱 노력할 것이다.

※ 자세한 사항은 2006년도 8월 15일자 중앙일보 1면, 8면 참조


1. 파워조직 영향력 및 신뢰도 순위 기사원문 바로가기
2. 24개 파워조직의 영향력과 신뢰도 분포 기사원문 바로가기

 
목록보기 수정 삭제